전체 글 (115)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기 동부 산간마을에서 전해진 도토리묵 찰떡, 떫은 재료로 빚은 겨울 간식 떫은 재료가 간식이 되기까지, 산속 마을의 겨울 생존술경기도 동부의 산간 마을, 특히 가평, 양평, 포천 등지에서는 과거 겨울을 나기 위한 생존 방식이 음식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눈과 바람이 거세게 몰아치는 겨울, 쉽게 상하지 않고 저장이 가능한 재료를 어떻게든 활용해 식탁을 이어가야 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재료가 바로 ‘도토리’였다. 도토리는 떫은맛이 강하고 그냥 먹기에는 독성이 있어 식재료로 다루기 까다롭지만, 조상들은 이를 삶고 우려내고 굳혀가며 자연 속에서 하나의 음식으로 탄생시켰다. 그렇게 태어난 음식 중 하나가 바로 ‘도토리묵 찰떡’이다. 일반적으로 도토리묵은 무침이나 국물 요리에 쓰이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경기 동부의 일부 마을에서는 이 도토리묵을 이용해 떡처.. 강진의 겨울 해풍으로 말린 갓잎 떡, 아는 사람만 아는 발효 간식의 비밀 바람이 맛을 만들다, 강진 겨울 바다와 갓잎 떡의 연결전라남도 강진은 남해안 해풍이 거칠게 몰아치는 겨울이 깊을수록, 오히려 음식의 풍미가 깊어지는 지역이다. 강진의 작은 해안 마을들에서는 예부터 자연을 이기는 대신 자연과 함께 순응하며 살아가는 삶의 철학이 음식에도 깊이 배어 있다. 그중에서도 ‘갓잎 떡’은 아는 사람만 아는 발효 간식으로, 바람이 만들어낸 진정한 미각의 산물이다.일반적으로 떡은 고소하거나 달콤한 재료와 함께 먹는 경우가 많지만, 강진의 갓잎 떡은 이례적으로 짭짤하고 시큼한 맛이 특징이다. 그 비밀은 바로 겨울 해풍으로 말린 갓잎에 있다. 갓은 특유의 톡 쏘는 매운 향과 쌉싸래한 맛이 있는데, 이를 겨울철 해풍에 말리면 그 향은 누그러지고 맛은 발효되면서 오히려 깊은 감칠맛을 낸다. 이.. 제주 오름 마을에서만 먹던 감자껍질 전병, 버려진 재료의 반전 맛 버려진 껍질이 간식이 되기까지, 제주 오름 마을의 조용한 지혜제주도의 오름 마을들은 수백 개의 오름(기생화산) 주변에 흩어져 있는 작은 고지대 마을이다. 이곳에서는 척박한 토질과 부족한 자원 속에서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 음식 재료 하나하나를 허투루 다루지 않는 지혜가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 감자는 제주에서 비교적 재배가 잘 되는 작물 중 하나였지만, 풍요롭지만은 않았던 시절, 감자의 알맹이보다 껍질이 더 귀하게 여겨졌던 때가 있었다. ‘감자껍질 전병’은 그렇게 생겨났다. 농사를 마친 뒤 남은 감자껍질을 버리지 않고 바짝 말려 두었다가, 밀가루 반죽과 섞어 지져 만든 이 간식은 제주 오름 마을의 어머니들 사이에서만 조용히 내려오던 생존의 음식이었다. 하지만 그 안에는 단순한 절약의 의미를 넘어, 음식에 .. 충청 남부 마을의 비밀 간식, 삶은 검정콩으로 만든 찰떡의 진짜 이야기 검정콩 찰떡, 어디에서도 듣지 못한 충청 마을의 숨은 맛충청 남부의 작은 마을들에는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독특한 간식이 있다. 이 떡은 찹쌀 반죽 안에 삶은 검정콩을 통째로 넣어 만드는 것으로, 도시에서는 보기 힘든 조리 방식과 재료 구성으로 인해 여전히 비밀스러운 전통 간식으로 남아 있다. 이 마을들에서는 예로부터 콩을 매우 귀하게 여겼고, 특히 검정콩은 약처럼 먹었다. 보통은 밥에 넣거나 조림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겨울철에는 이 귀한 검정콩을 삶아 찹쌀떡 안에 통째로 넣는 독특한 방식으로 조리했다. 검정콩 찰떡은 겉보기엔 단순한 찰떡처럼 보이지만, 한 입 베어 물면 고소하고 은은한 단맛이 퍼지며 다른 떡과는 전혀 다른 식감을 선사한다. 충청 남부에서는 이 떡을 손님 접대용으로 내놓거나, 김.. 강원 고랭지에서 겨울마다 빚어 먹던 '무말랭이 찹쌀떡'의 정체 척박한 고랭지와 무말랭이 찹쌀떡의 탄생 배경강원도의 고랭지 마을은 예부터 겨울이 길고 눈이 자주 내리는 지역이었다. 이곳에서는 땅이 얼기 전에 대부분의 농작물을 수확하고, 겨울철 식량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전통 음식이 바로 ‘무말랭이 찹쌀떡’이다. 많은 이들에게 생소할 수 있는 이 떡은, 강원 고랭지 주민들이 겨울철 단백질과 섬유질을 보충하며 오래도록 배를 채우기 위해 만든 지혜의 산물이다.겨울이면 집집마다 마당 한쪽에 널어 말린 무말랭이가 있었다. 말린 무는 단순히 나물로 무쳐 먹는 데 그치지 않고, 떡 안에 넣는 특별한 재료로 활용되었다. 무의 감칠맛과 찹쌀의 쫀득한 식감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무말랭이 찹쌀떡은 지역 주민들의 생존 음식이자, 공동체 .. 충청 내륙 들판에서 전해지던 메밀잎 찰떡의 숨겨진 맛과 전통 충청 내륙과 메밀잎 찰떡의 만남충청 내륙 들판은 예부터 비옥한 땅과 넉넉한 자연환경으로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그곳의 들판에는 계절마다 다양한 곡식과 풀이 자랐고, 사람들은 땅이 주는 선물을 고이 받아 삶을 이어갔다. 메밀은 그중에서도 충청 들판에서 사랑받던 귀한 곡식이었다. 특히 메밀의 어린 잎은 떡을 찔 때 특별한 재료로 활용되었다. 메밀잎 찰떡은 단순히 배를 채우는 음식이 아니라, 땅과 사람, 계절의 이야기를 담은 충청 내륙의 전통 음식이었다.메밀잎 찰떡은 시장이나 도시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던 떡이었다. 그것은 충청 들판 사람들의 손끝에서 계절의 흐름과 자연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빚어진 소박한 음식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메밀잎 찰떡의 기원, 재료와 만드는 법, 그 속에 담긴 맛과 의미, .. 강원 산간 마을에서 전해지던 산딸기잎 찰떡의 숨겨진 이야기 강원 산골과 산딸기잎 찰떡의 인연강원 산간 마을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산과 숲, 계곡이 어우러진 곳이었다. 이곳 사람들은 산이 주는 것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왔다. 여름 초입, 숲 가장자리를 붉게 물들인 산딸기는 강원 산골 사람들에게 계절을 알리고 기쁨을 주는 선물이었다. 그런데 산딸기의 열매만큼이나 귀히 쓰였던 것이 바로 산딸기잎이었다. 산딸기잎은 숲의 향기와 생기를 품고 있어 찰떡을 빚는 데 소중한 재료로 활용됐다. 산딸기잎 찰떡은 강원 산골 사람들이 자연과 더불어 살아온 삶의 철학을 담은 음식이었다.산딸기잎 찰떡은 도시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던 떡이었다. 그것은 산골 사람들이 계절과 자연에 감사하며 가족과 이웃이 나누던 소박한 음식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산딸기잎 찰떡의 기원, 재료와 만드는 법, 그 속.. 제주 돌담 마을에서 전해지던 청보리잎 찰떡의 숨겨진 이야기 제주 돌담 마을과 청보리잎 찰떡의 인연제주 돌담 마을은 돌담 사이로 바람이 스며들고, 그 틈새마다 삶의 이야기가 깃든 곳이었다. 돌담 너머 끝없이 펼쳐진 청보리밭은 제주 사람들에게 자연의 축복이자 생업의 터전이었다. 청보리잎은 단순한 가축 사료가 아니라, 이 땅의 사람들에게 음식 재료로도 귀히 쓰였다. 그 중 청보리잎 찰떡은 청보리밭의 향과 돌담 마을 사람들의 손끝 정성이 어우러져 탄생한 전통 음식이었다.청보리잎 찰떡은 시장이나 도시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떡이었다. 그것은 제주 돌담 마을 사람들이 계절의 흐름을 따라 삶과 자연의 조화를 담아낸 떡이자, 가족과 이웃이 함께 나누던 소박한 음식이었다. 이번 글에서는 청보리잎 찰떡의 기원, 재료와 만드는 법, 그 맛과 이야기를 살펴보고, 오늘 우리가 다시 ..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