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간식 (87)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북 청도 민속장에서 전해지던 마늘잎 찹쌀떡, 사라진 봄 간식의 기록 봄볕과 함께 장터에 피어나던 초록 떡의 기억경상북도 청도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마늘 생산지다. 특히 봄철이면 청도 민속장은 생기 넘치는 지역 사람들로 북적이곤 했는데, 그곳에서만 만날 수 있었던 독특한 떡이 하나 있었다. 바로 마늘잎 찹쌀떡이다. 이름만 들으면 낯설지만, 마늘이 흔한 청도에서는 봄철 어린 마늘잎을 잘게 다져 찹쌀 반죽에 넣어 만든 이 떡이 과거 봄 한철 간식으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 떡은 겉보기엔 평범한 찹쌀떡처럼 생겼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코끝을 스치는 알싸한 향과 연둣빛 반죽이 남다른 존재감을 풍겼다. 일반적인 팥소 대신 검은깨, 들깨, 삶은 으깬 콩소 등을 넣어 만들었기 때문에 당도가 강하지 않고, 봄철 입맛을 깨워주는 은근한 감칠맛과 향이 특징이었다.하지만 오늘날 이 마늘잎 찹쌀.. 강원 평창의 겨울 산골에서 만든 감자녹말 떡국떡, 사라진 ‘투명 떡’의 기록 찹쌀 대신 감자녹말로 빚은 겨울의 떡국떡강원도 평창은 험준한 산세와 매서운 겨울 바람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깊은 산골 마을에서는 겨울이 시작되기 전부터 저장 식량을 준비하며 긴 추위에 대비해 왔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감자였다. 평창은 고랭지 기후 특성상 벼농사가 쉽지 않아 예부터 찹쌀보다 감자를 더 많이 재배했고, 이를 녹말로 가공해 다양한 전통 음식에 활용했다.그중에서도 가장 특별한 음식이 바로 감자녹말로 만든 떡국떡, 일명 ‘투명 떡’이다. 겨울철 설 명절을 앞두고 찹쌀이 귀하거나 구하기 어려운 산골 가정에서는 감자녹말로 반죽해 얇게 썬 떡국용 떡을 직접 만들어 설날을 준비했다. 이 떡은 일반적인 떡국떡과는 달리 하얀 불투명한 색이 아니라, 빛을 비추면 안이 살짝 보일 정도로 투명한 외형을 가졌고,.. 충북 단양의 석회암 바위틈에서 자란 쑥으로 만든 ‘쑥산자’, 돌쑥의 쌉싸름한 정취 돌틈에서 피어난 향, 단양 돌쑥으로 만든 특별한 한과충청북도 단양은 석회암 지형이 넓게 펼쳐진 지역으로, 오랜 세월 동안 풍화된 돌틈 사이로 자라는 야생 식물들이 특별한 향과 맛을 자랑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단양의 바위틈에서 자라나는 ‘돌쑥’, 일명 석회암 쑥은 일반 들쑥보다 향이 짙고 떫은맛이 거의 없어 예부터 귀한 식재료로 여겨졌다. 이 돌쑥은 예로부터 부인병, 소화불량, 냉증 완화에 효능이 있다고 하여 약재처럼 취급되었고, 봄철이 되면 어김없이 할머니들은 산으로 향해 이 쑥을 채취하곤 했다.하지만 이 돌쑥을 활용한 음식 중 가장 독특한 형태는 바로 ‘쑥산자’다. 산자는 보통 찹쌀 반죽을 말려 기름에 튀기고, 조청이나 꿀을 발라 고명을 입힌 전통 한과지만, 단양에서는 돌쑥을 다져 반죽에 섞어 만든 쑥.. 전북 고창 바닷바람에 말린 다시마 떡쌈, 바다와 떡의 만남 바다 향기 나는 떡, 고창에서 태어난 특별한 간식전북 고창은 한반도 서해안 남부에 자리잡은 풍요로운 땅이다. 고창은 흔히 청보리밭과 선운사, 풍천장어로 유명하지만, 오래전부터 이곳 어촌 마을에서는 바닷바람을 활용한 해조류 가공 기술이 전통적으로 전승돼 왔다. 특히 고창군 해리면과 심원면 일대는 겨울철 북서풍을 이용해 다시마를 자연 건조하는 마을로 알려져 있다. 그런 바닷바람과 해조류의 문화가 한데 어우러져 탄생한 독특한 전통 간식이 있다. 바로 ‘다시마 떡쌈’이다. 다시마 떡쌈은 이름 그대로 찹쌀떡을 말린 다시마로 감싸 쪄내는 방식의 떡이다. 이 음식은 단순히 특별한 모양새나 새로운 맛을 위해 탄생한 것이 아니다. 겨울철 저장식품을 활용해 떡의 보존성을 높이고, 해조류의 미네랄을 보충하려는 지혜에서 비롯.. 충청 내륙의 겨울 보양 간식, 생강즙 넣은 찹쌀 강정의 숨은 레시피 겨울을 견디는 법, 충청도 마을의 지혜에서 찾다충청도 내륙은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특히 겨울은 건조하고 매서운 바람이 길게 이어진다. 이 지역의 어르신들은 언제나 겨울을 “바람을 품은 산”이라고 표현해 왔으며, 그러한 자연의 특성은 오랜 세월 동안 이곳 음식문화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겨울철 부족해지는 체력과 떨어지는 면역력을 보완하기 위해, 마을마다 나름의 보양 간식이 발달했는데, 그중에서도 조용히 계승되어 오던 한 가지 음식이 있다. 바로 생강즙을 넣어 만든 찹쌀 강정이다. 일반적으로 강정은 설 명절이나 잔치상에서 빠지지 않는 전통 간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충청 내륙 일부 지역에서는 강정을 단순히 명절용이 아니라, 겨울철을 위한 일상적 보양 간식으로 활용해왔다. 특히 생강즙을 활용한 강.. 경상북도 영양 깊은 산골의 ‘굴참나무 잎 떡’, 숯향 머금은 잎에 싸서 찐 겨울 별미 산이 깊어 떡도 특별했다, 영양 산골의 겨울 풍경경상북도 영양은 우리나라에서도 손꼽히는 깊은 산골 지역이다. 산세가 험하고 고도가 높아 겨울이 길고 혹독한 것으로 유명하며, 외부에서의 식재료 수급이 어려워 지역 주민들은 오랫동안 자급자족의 전통을 이어왔다. 이 척박한 환경 속에서 만들어진 음식들은 재료 하나하나에 자연의 향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음식이 바로 ‘굴참나무 잎 떡’이다. 굴참나무는 낙엽활엽수로서, 일반적으로는 숯을 굽거나 땔감으로 쓰이는 나무다. 그런데 영양과 봉화, 청송 일대의 몇몇 마을에서는 굴참나무의 큼직한 잎을 활용해 떡을 싸서 쪘다. 이 특별한 조리법은 굴참나무 잎이 가진 강한 숯 향과 방부 성질 덕분에 겨울철 장기 보관에도 용이했고, 맛에서도 특유의 산내.. 지리산 자락에서 겨울마다 쪄 먹던 ‘청미래 떡’, 뿌리줄기로 우린 떡 물의 비밀 약초와 떡이 만난 특별한 겨울, 지리산 골짜기의 지혜지리산 자락의 겨울은 유난히 깊고 길다. 다른 지역보다 온도가 낮고 눈이 많이 쌓이기에, 겨울 식량을 준비하는 일이 마을의 큰 일 중 하나였다. 이 험한 산중에서도 오래도록 전해져 내려온 특별한 겨울 간식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청미래 떡’이다. 이름만 들으면 생소할 수 있지만, 이 떡은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에서 우려낸 물로 반죽을 만들어 쪄내는 아주 희귀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청미래덩굴은 흔히 ‘망개나무’로도 불리며, 그 잎은 경남지역에서 망개떡을 싸는 데 사용되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는 청미래 떡은 잎이 아닌 뿌리줄기를 사용하는 완전히 다른 방식이다. 예부터 지리산 자락의 산촌 마을에서는 청미래의 뿌리를 겨울철 떡 반죽에 활용해, .. 경기 평야에서 겨울마다 만들던 ‘갯버들 껍질떡’, 나무껍질로 만든 생존 간식 겨울 평야의 척박함 속에서 태어난 나무껍질 떡경기도 남부 평야지대, 특히 안성·평택·이천 일대는 넓은 논과 밭이 펼쳐진 비옥한 농업 지대였다. 하지만 풍요로운 땅이라는 인식과는 달리, 겨울이 되면 이 지역은 철저히 빈곤해졌다. 수확이 끝나고 나면 저장된 곡물도 부족했고, 그나마 남은 것은 논두렁 옆이나 도랑가에 자라던 버들나무뿐이었다. 그중에서도 사람들은 ‘갯버들’이라는 특별한 버들나무의 껍질을 벗겨내어, 그것을 떡의 반죽 재료로 사용했다.이른바 ‘갯버들 껍질떡’은 겨울 생존 간식이자 보릿고개를 견디는 수단이었다. 갯버들은 일반 버들보다 수피가 얇고, 껍질을 삶아 우린 물은 옅은 갈색을 띠며 특유의 쌉싸래한 향이 난다. 이 물은 떡 반죽에 활용되어 밀도감과 향을 더했다. 이 떡은 설탕이나 조청 없이도 자..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