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 간식

강원도 정선의 겨울 산속에서 만든 ‘솔가지 훈증 찰떡’, 연기 속에서 피어난 향기

겨울 산촌의 연기와 함께 익은 떡

강원도 정선은 예부터 눈 많은 산골로 이름이 났다. 이곳의 겨울은 유난히 길고, 해가 짧으며, 무엇보다 차디찬 바람이 골짜기를 타고 내려온다. 깊은 산속에서 살아가는 마을 사람들은 이런 계절의 거칠음 속에서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따뜻함을 만들어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솔가지 훈증 찰떡’이다.

강원도 정선의 겨울 산속에서 만든 솔가지 훈증 찰떡

 

이 떡은 단순히 찹쌀로 만든 떡이 아니다. 소나무 가지, 즉 솔가지를 불에 살짝 태워 생긴 연기와 열기로 찰떡을 익히는 특별한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떡은 훈증되어 향이 배고, 천연 방부 역할도 하게 된다. 따로 소금이나 보존제를 넣지 않아도 떡이 오래도록 변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솔가지 훈증 찰떡은 겨울에 먹는 떡이다. 특히 정선에서는 이 떡을 해가 바뀌는 시점, 즉 설 무렵에 맞춰 만든다. 눈 덮인 마당에 연기를 자욱이 피우고, 덜덜 떠는 손으로 떡을 찌는 풍경은 단순한 음식 조리가 아닌 마을 공동체의 전통적 행위였다.

이 떡은 외지에서는 거의 볼 수 없고, 정선 내에서도 일부 산촌 지역에서만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슬로푸드와 훈연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솔가지 훈증 찰떡이 가진 깊은 향과 전통적 의미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솔가지와 훈증이라는 특별한 조리법

솔가지 훈증 찰떡의 가장 큰 특징은 찌는 방식에 있다. 일반적인 떡은 찜통이나 솥에 물을 붓고, 찜기 위에 떡을 얹어 증기로 익히지만, 이 떡은 그 방식이 전혀 다르다.

정선 산골에서는 겨울이면 마당이나 뒷마루 한쪽에 조그만 토방식 훈증 공간을 만든다. 그 아래에는 마른 솔가지를 태우고, 위에는 옹기 찜기를 얹는다. 불길은 세지 않지만 연기와 열기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솔가지 특유의 송진 향과 나무 타는 향이 찰떡에 스며든다.

이 방식의 핵심은 ‘연기를 온기로 삼는다’는 발상이다. 직접 불로 찌는 것이 아니라, 낮은 열과 자연 연기로 서서히 익히는 과정이기에, 떡이 퍽퍽해지지 않고 쫄깃하면서도 고소한 풍미가 배어난다. 떡을 감싼 대나무잎이나 솔잎이 송진 향을 보존해주면서, 고유의 향과 텍스처를 만들어낸다.

찹쌀은 하루 전부터 불려놓은 것을 사용하며, 마을에 따라 흑미를 일부 섞는 경우도 있다. 떡 안에 들어가는 재료는 단출하다. 팥소나 콩가루가 들어가기도 하지만, 본래의 솔가지 떡은 첨가물 없이, 솔향 그 자체를 느끼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었다.

특히 솔가지 훈증 찰떡은 겨울철 떡으로, 한 번 만들어두면 냉장이나 냉동 보관 없이도 몇 주간 두고 먹을 수 있었다. 이는 강원도 지역 특유의 저장 문화, 그리고 훈연의 지혜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마을 문화와 함께 존재했던 겨울 떡

솔가지 훈증 찰떡은 단지 조리법만 특별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마을 공동체의 기억과 계절의 리듬을 함께 담고 있는 음식이었다.

정선에서는 겨울철 곡식이 귀할 때, 마을 사람들이 한 집에 모여 떡을 나눠 만드는 ‘떡 찌기 날’을 가졌다. 한 집에서 쌀을 내놓고, 다른 집에서는 솔가지와 장작을 제공했다. 떡이 찌는 동안 아이들은 솔가지 쌓인 마당 주변을 뛰놀았고, 어른들은 항아리에서 꺼낸 조청과 떡을 나누며 한 해를 마무리했다.

이런 전통은 설날이나 대보름, 또는 집안 대청소가 끝난 뒤에 이루어졌고, 솔가지 훈증 찰떡은 마을 사람 모두가 함께 맛보는 특별한 음식이었다. 혼례 때에도 이 떡은 ‘훈기 있는 집안’이라는 의미로 신부 집에서 보내기도 했다.

또한 이 떡은 무언가를 삼가고 정갈하게 하는 마음을 담아, 불필요한 양념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 솔잎이 정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점도 이유 중 하나였다. 이로 인해 정선의 일부 지역에서는 제사상이나 고사에 오르는 떡으로도 쓰였다.

오늘날에는 이런 공동 떡 찌기 문화는 많이 사라졌지만, 마을 어르신들 몇몇은 여전히 설 무렵이 되면 솔가지를 준비하고, 손수 떡을 찌는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이 떡은 그들에게 겨울의 향기이며, 살아 있는 기억의 조각이다.

연기 속에 피어난 슬로푸드의 가능성

솔가지 훈증 찰떡은 자연의 재료, 저온 조리, 무첨가 전통이라는 측면에서 오늘날 ‘슬로푸드’라는 이름에 가장 적합한 한국 전통 음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대량 생산이 어렵고, 연기와 향이라는 감각적 요소가 중요하기 때문에 산업화에는 어려움이 따르지만, 이 점이 오히려 지역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일부 강원도 체험마을에서는 이 떡을 직접 만들어보는 ‘겨울 떡 훈증 체험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 중이며, 도시 소비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특히 훈연 음식에 대한 트렌드가 높아진 가운데, 이 떡은 ‘디저트’보다는 ‘식경험’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훈증 과정에서 나는 솔향, 떡을 쪄내는 손길, 연기 가득한 마당, 그리고 쫄깃한 떡을 베어 무는 순간의 감각은 기계로 대체할 수 없는 전통의 체험이 된다.

향후에는 이 떡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버전, 예를 들어 솔잎을 곁들인 찰떡 바나나칩, 솔가지향 음료와 함께 제공되는 카페 디저트 등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떡이 단순한 과거의 음식이 아니라, 여전히 현재의 계절을 살아 숨 쉬는 음식이라는 점이다.

연기 속에서 천천히 익어가는 떡처럼, 강원도의 겨울도 그렇게 천천히 깊어진다. 그리고 그 안에서 솔가지 훈증 찰떡은 묵직한 향기를 품은 채,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조용히 건너가고 있다.

훈연 찰떡의 미래, 계승을 위한 움직임

최근 몇 년 사이, 정선과 인근 태백, 평창 일부 지역에서는 솔가지 훈증 찰떡을 복원하고 계승하려는 시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단순한 전통 재현을 넘어서, 이 떡을 현대인의 식생활에 맞게 재해석하려는 젊은 농부들과 마을단위 협동조합들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선 고한읍의 한 청년 단체는 지역 어르신들의 지도를 받아 솔가지 훈증 찰떡의 전통 조리법을 그대로 따라하면서도, 떡을 한입 크기로 소분하고, 솔잎 향을 강조한 진공 포장법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현재 로컬 푸드 마켓과 온라인 장터에서 ‘향으로 먹는 떡’이라는 콘셉트로 판매되고 있으며, 도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전통음식 연구자는 훈연 조리 방식이 한국 음식문화 속에서 드물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통 떡들이 수분을 활용한 찜 방식 위주라는 점을 감안할 때, 솔가지 연기를 활용한 훈증 떡은 매우 희소하고 연구할 가치가 높은 조리 방식으로 평가된다. 특히 훈증 과정에서 생성되는 독특한 방향 성분들이 면역력 강화나 식욕 자극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민간의 지혜 또한 재조명되고 있다.

한편, 정선교육지원청과 일부 중학교에서는 겨울철 지역 향토음식 체험 수업의 일환으로 솔가지 훈증 찰떡 만들기를 직접 진행하고 있다. 이 체험은 단순히 떡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솔가지 수집, 불 피우기, 훈증 도구 설치 등 전 과정을 함께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청소년들에게 계절의 흐름과 조상의 지혜를 동시에 알려주는 교육적 도구로도 각광받는다.

솔가지 훈증 찰떡은 이제 단순한 겨울 간식을 넘어서, 지역의 문화 자산이자 식재적 유산으로서의 가능성을 점점 키워가고 있다. 천천히, 그러나 분명한 향기로 다시 살아나는 이 떡의 미래는 이제 막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