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한 감의 껍질에서 피어난 떡 한 조각의 겨울
경상북도 청도는 예부터 단감과 반건시의 고장으로 이름 높았다. 감이 익는 늦가을이면 집집마다 처마 밑에 감이 주렁주렁 매달리고, 시골길을 걷다 보면 돌담 너머로 감 껍질을 말리는 풍경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감은 먹고 껍질은 버리는 게 상식이었지만, 청도 돌담마을의 어르신들은 이 껍질조차 소중히 모아 찰떡 반죽에 넣거나 떡을 찔 때 덮어 향을 더하는 전통을 이어왔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바로 감껍질 찰떡이다.
감껍질 찰떡은 그 이름부터 낯설게 느껴지지만, 사실 이는 청도 지역 겨울 간식의 정수였다. 감껍질은 겨울 내내 말려두었다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찰떡 반죽에 다져 넣거나, 떡을 찔 때 위에 덮어 은은한 감향을 배게 하는 데 쓰였다. 과육보다 더 짙은 감 향기를 품은 껍질은, 떡 전체에 깊이 있는 단맛과 독특한 풍미를 부여했다. 떡이 완성되고 나면, 마치 겨울 해를 닮은 은은한 빛깔과 함께 고요한 감의 향이 퍼졌고, 그것은 바로 청도의 겨울이 입안에 들어온 것 같은 느낌을 주었다.
이 떡은 단순한 겨울 간식을 넘어, 음식이 허투루 버려지지 않던 시절의 지혜를 보여주는 산물이었다. 먹다 남은 감의 껍질 하나조차 다시 삶고 말려, 떡 반죽의 재료로 되살리는 방식은 오늘날의 푸드 리사이클링 개념보다도 훨씬 앞선 감각이었다. 그리고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그 떡을 기억하는 사람들에겐 여전히 마음속에서 고향 냄새로 남아 있다.
감껍질, 떡 반죽에 향을 입히는 기술
감껍질 찰떡은 재료만큼이나 만드는 방식도 특별했다. 먼저, 단감이나 반건시용 감의 껍질을 손질한 뒤, 바람이 잘 드는 처마 밑에서 며칠간 자연 건조했다. 감껍질은 수분이 많아 바로 말리면 상하기 쉽기 때문에, 얇게 썰어 펼쳐놓고, 하루에 몇 번씩 뒤집어가며 골고루 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했다. 그렇게 말린 감껍질은 뽀얗게 하얀 당분이 겉에 맺히며, 마치 설탕을 입힌 듯한 모습이 되었다.
말린 껍질은 다시 물에 불려 부드럽게 만든 후, 곱게 다져 찹쌀 반죽에 섞는다. 이때 껍질의 당분이 반죽에 녹아 들어가면서 떡 전체에 은은한 단맛을 입히고, 특유의 감향이 코끝에 머무는 풍미를 만들어낸다. 반죽은 일반 찰떡과 비슷하지만, 감껍질을 섞으면서 수분 조절에 더 신경을 써야 했다. 껍질을 많이 넣으면 반죽이 질어지고, 적게 넣으면 향이 살지 않기 때문에, 적정 비율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감껍질을 활용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뉘었다. 하나는 껍질을 다져 반죽 안에 직접 넣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껍질을 얇게 저며 떡을 찌기 전 반죽 위에 덮는 방식이다. 후자의 경우, 찜기에서 떡을 찌는 동안 감향이 증기로 배어들며, 떡의 겉면에 특유의 무늬와 향을 남긴다. 때로는 감껍질을 덮은 위에 깨소금을 솔솔 뿌려 고소함을 더하기도 했다.
완성된 떡은 감껍질 덕분에 자연스럽게 옅은 주황빛이 돌고, 입안에서 씹을수록 은근한 감 향과 찰떡의 쫀득함이 어우러졌다. 어떤 떡은 말린 대추나 밤을 곁들이기도 했고, 조청을 살짝 찍어 먹으면 단맛이 한층 더 살아났다. 겨울이면 온돌방 아랫목에서 이 떡 한 조각을 놓고 식구들이 함께 둘러앉았고, 그렇게 소박한 정이 한층 더 깊어졌다.
사라진 겨울 떡, 다시 돌아와야 할 이유
감껍질 찰떡은 지금 거의 사라졌다. 그 이유는 복합적이다. 먼저 감껍질 자체를 말려서 사용하는 문화가 줄어들었다. 감은 그대로 먹고 껍질은 버리는 것이 당연한 시대에, 껍질을 모아 말리고 보관하는 일은 번거롭고 비효율적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또 하나는 찹쌀떡의 대량 생산과 냉동 기술의 발달로, 즉석 떡 제품이 보편화되면서 손이 많이 가는 수제 떡은 자연스럽게 뒤로 밀렸다.
현대 떡 제조에는 풍미나 향보다는 시각적 디자인과 유통 기한이 중시되다 보니, 감껍질처럼 향은 뛰어나지만 관리가 어려운 재료는 채택되기 어렵다. 무엇보다 감껍질 자체가 계절성에 따라 생산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구조가 된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전통 재료에 대한 관심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특히 ‘제로 웨이스트’ ‘식재료 활용도 극대화’ 같은 키워드가 강조되는 시대에, 감껍질 찰떡은 그 자체로 매우 앞선 개념의 음식이다. 감껍질은 항산화 성분과 당분이 풍부하고, 향이 깊어 디저트에 응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재료가 단지 번거롭다는 이유로 사라진 것은 아쉬운 일이다.
지금 청도에서는 지역 농산물 축제나 체험 관광을 통해 감말랭이와 감식초 같은 가공품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 흐름 속에 감껍질 찰떡도 다시 복원해볼 수 있다. 단순히 전통 떡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감껍질의 향과 기능성을 활용한 현대형 간식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식품 건조기나 분쇄기를 이용해 감껍질 분말을 활용하거나, 감껍질을 캐러멜라이징해 토핑으로 쓰는 방식도 가능하다.
감껍질의 단맛이 지켜낸 겨울의 온기
감껍질 찰떡은 단지 떡 하나가 아니다. 그것은 청도의 겨울을 통째로 담은 음식이며, 아무것도 버리지 않던 시절 사람들의 섬세한 생활 감각이 깃든 문화유산이다. 오늘날 우리는 편리함이라는 이름 아래, 음식이 지닌 본연의 시간과 정성을 잊고 살아간다. 그러나 감껍질 찰떡을 다시 떠올린다면, 그것은 곧 계절의 흐름을 기억하는 일이기도 하다.
돌담을 따라 감껍질이 널려 있던 그 마을의 겨울, 찜기에서 피어오르던 감향, 그리고 쫀득한 떡 속에서 번져나오던 자연의 단맛. 그것은 입에 남는 맛을 넘어 마음속까지 따뜻하게 데워주는 경험이었다. 전통은 단지 오래된 것이 아니라, 되살릴 가치가 있는 기억이다. 감껍질 찰떡도 마찬가지다. 이 특별한 겨울 떡이 다시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 날, 그건 단지 한 조각의 떡이 아니라, 한 시대의 감성과 지혜가 되살아나는 순간이 될 것이다.
'전통 간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임실에서 대보름 직전 만들던 팥깍지 찹쌀떡, 알맹이보다 껍질이 귀했던 이유 (0) | 2025.07.16 |
---|---|
강원도 인제 산골마을에서 설날마다 나눠 먹던 잣가루 인절미, 소나무 아래의 고소한 전통 (0) | 2025.07.16 |
충청 내륙 마을에서 명절마다 구웠던 꿀조청 달고나 떡, 숯불 위에서 피어오른 기억 (0) | 2025.07.15 |
제주 비양도 마을에서 여름마다 빚던 톳반죽 떡, 바다 풀로 만든 이색 간식 (0) | 2025.07.15 |
강릉 산간 마을에서 눈 오는 날 구워 먹던 메밀껍질 화덕떡, 사라진 겨울 손난로 간식 (0) | 2025.07.14 |